3월 27, 2025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의 사랑

소크라테스는 “나에게 맞는 대로 / 내 방식대로”(199b1) 말할 것을 약속하며, 그의 기여는 실제로 다른 플라톤 대화에서 익숙한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다음에 올 것을 준비하고, 두 번째로 더 긴 “교훈적인” 연설을 합니다. 처음에는 소크라테스가, 그 다음에는 디오티마가 합니다. 연설(소크라테스)에서 변증법(아가톤을 조사하는 소크라테스), 더 나아가 변증법(디오티마가 소크라테스를 조사함),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화와 형이상학에 대한 디오티마의 위대한 연설로 발전함에 따라 소크라테스의 개인적 역할은 점차 덜 중요해집니다. 각각의 연속적인 연사가 이전의 연사를 어느 정도 제한하지만 소크라테스(및 디오티마)만이 바로 앞의 연사에게 특정 질문을 던집니다. 이제 핵심 관심사가 될 수사학적 및 수행적 효율성이 아니라 명백히 진실입니다.

소크라테스적 윤리

소크라테스는 먼저 “에로스가 무엇인가”를 기술한(epideixai) 다음 “그것이 책임이 있는 것”(199c2–6;cf. 195a1–3)을 기술하는 Agathon의 혼돈주의적 전략을 칭찬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소크라테스는 “나는 그 시작을 매우 존경합니다.”라고 말하며 우리는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소크라테스적 윤리적 논의의 가장 친숙한 측면 중 하나, 즉 윤리적 용어의 정의에 대한 탐구에 쉽게 수용될 수 있는 전략입니다. “용감함”(라케스에서처럼)이나 “아름다움”(히피아스 마이오르에서처럼 칼론에게), 공화국에서처럼 “정의”가 우리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논의할 수 없습니다. 이것들이 실제로 무엇인지 결정했습니다. 따라서 정의를 추구하는 소크라테스적 대화는 “진정한 encomium”의 모습이어야 합니다. 플라톤 자신이 나중에 심포지엄에서 이것을 보여줍니다.

알키비아데스의 연설 후에 우리는 소크라테스의 아가톤의 엔코미움(223 a1-2)을 기대하게 되며, 아리스토데모스가 다음날 아침 우리의 비전을 회복했을 때 아가톤과 아리스토파네스는, 어떤 어려움은 소크라테스가 “예술에 의해”(technê) 비극 시인인 사람도 희극 시인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서 같은 사람이 두 가지 형태의 드라마를 구성하는 방법(epistasthai)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전형적인 소크라테스 형식과 명백한 역설(비극과 희극 작곡은 고전 아테네에서 완전히 분리된 예술이었다)의 주장을 인식하며, 약속된 encomium을 실제로 목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것 역시 용어의 정의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며, 우리가 실제로 목격하는 Agathon과 Socrates 사이의 변증법처럼 Agathon은 그가 견해를 가지고 있었음에 틀림없는 주제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고 결론지었을 것입니다(201b11-12 ).

소크라테스의 아가톤 – 에로스를 포함

소크라테스는 먼저 아가톤이 에로스가 명시적으로 언급되든 그렇지 않든 항상 무언가의 에로스를 포함한다는 점에 동의하게 합니다. “누군가의 아버지”가 되는 것. 에로스가 관계적이라는 사실은 다음에서 중요하지만 소크라테스의 “아버지”와 “형제”에 대한 설명적 예는 또한 우리가 보다 자연스럽게 에로스, 즉 아버지로서 에로스를 구현하는 사람은 “아버지”를 구현합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200a3에서 “에로스[에라스테스보다]가 바라는 것”이며, 사랑이 항상 “영구적 소유”의 목적을 위한 것이라는 생각의 중요성은 일련의 개인적인 예를 통해 확립됩니다(200c-e). 우리는 “원하는 모든 사람”(200e2)에서 “에로스는 특정한 것들에 속하고 실제로 그것이 부족한 것들에 속한다”(200e9-10)로 매끄럽게 이동합니다.

이 슬라이드의 결과는 디오티마가 신을 묘사할 때 소크라테스와 에로스를 동일시할 수 있을 정도로 유사할 것입니다. 둘째, 에로스의 관계적 본성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주장은 아가톤이 방금 전달한 encomium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실제로 파이드로스의 많은 부분은 마치 에로스를 세상에서 일하는 것과 분리하여 다룰 수 있는 것처럼 단순히 에로스를 칭찬하고 그것에 특성을 부여했습니다. 시인들이 에로가 어떤 것인지를 묘사할 때조차도 그러한 묘사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에로틱한 경험과 직장에서의 에로의 특정한 표현에서 출발점이 있습니다.

Agathon은 거의 지나갈 때 에로스가 “추함”이 아니라 “아름다움”이어야 한다고 언급했지만(197b5), 소크라테스가 “충분히 합리적”(201a8)으로 설명하는 견해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늘날 도덕적으로 치욕스러운 대상으로 간주되는 에로와 그 동족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이상한 점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아름다운”(kalon)에 대한 그리스어가 “명예로운/도덕적으로 옳은”에 대한 일반적인 단어인 것처럼 “추한”(aischron)에 대한 단어도 “수치스러운/도덕적으로 잘못된”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에로스에 대한 찬사는 “무엇의 에로스?”라는 질문을 피할 수 없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